본문 바로가기

책 이야기

‘몽고반점’은 낙인을 의미하는 게 아닐까? 소설 ‘몽고반점’

소설을 읽고 작가 한강이 소설의 제목을 지을 때 왜 하필이면 ‘몽고반점’으로 지었을까를 생각해 봤다. 몽고반점이 소설 속 주인공 ‘그’가 처제에게서 성욕을 느끼고 소설 속 이야기를 이끌어나가는 기폭제이기 때문일까? 그렇게 단순할 것 같진 않았다.

 

작가 한강이 얼마 전 영국의 저명한 문학상인 ‘맨 부커상’의 수상자라는 뉴스를 몰랐다면, 그녀가 오래전 쓴 ‘채식주의자’라는 소설로 그 상을 수상했다는 사실을 몰랐다면, 아마도 난 단순히 처음의 생각을 고수했을 거 같다. 

그리고 그녀가 연작으로 펴 낸 작품들, 그러니까 ‘채식주의자’에서부터 이 작품 ‘몽고반점’을 거쳐 ‘나무불꽃’으로 이어지는 작품 속에서 인간의 내면과 인간의 폭력성을 탐구하고자 했었다는 걸 몰랐다면 말이다. 

 

그래서 결론이 뭐냐고 누군가 내게 물으신다면 처음에 나는 이렇게 답하고 싶었다.

아마도 한강 작가는 몽고반점이라는 어린아이들이 지니고 있는 그 표식을 통해 우리에게 근원적 순수함을 말하고 싶었던 게 아니었을까라고. 

혹은 몽고반점은 일본어로는 ‘시리가 아오이’로 푸른 엉덩이, 미성숙을 의미한다고 하니 미성숙한, 예술을 빙자해 자신의 욕정에만 눈이 어두웠던 소설 속 ‘그’를 말할 수도 있을 거 같다고. 

너무도 다른 중의적 해석이 가능한 제목을 던지므로 독자 스스로 판단하도록 유도한 셈이라고 말이다. 

 

‘나는 채식주의자’를 아직 읽어보진 못했다. 

하지만 대충 어떤 내용인지는 들어 알고 있는데, 소설 속 주인공 영혜가 어느 날부터인가 육식을 거부하는 몸짓을 하는 이유를 나는 이렇게 해석(분명 충분히 이해 또는 납득할 수 있을만한 설명이 이 책 ‘몽고반점’에도 들어있다!)했었다. 

어쩌면 거짓과 폭력으로 꽉 차버린 세상을, 그런 세상에 익숙해지는 어른이 되어가는 게 싫었던 영혜는 거짓과 폭력이 일상이 되어버린 어른들의 거친 이빨로 뜯어먹을 수 있는 고기 대신 순한 풀과 곡식들을 얌전히 흡입하며 태곳적 순수를 지키는, 몽고반점을 여전히 간직할 수 있는 아이가 되고 싶었기 때문이었을 거라고 말이다. 그래서 일체의 거짓과 폭력을 거부하는 그녀는 <늘 벗고 있길 원하고 있다>라고 생각했다.

 

다시 말해 ‘몽고반점’은 태곳적 순수함을 간직하고 싶었던 영혜와 세상사에 찌든 거짓을 미워했지만 살아가기 위해 거짓 대신 진실에 고개 돌리고 거짓을 행했던 자신의 남루한 작품에 환멸과 고통을 느낀 ‘그’ 임에도 결국 욕정에 무릎 꿇어 또 다른 폭력을 행사하고 마는(아내에게, 처제에게) 미성숙한 ‘그’에 관한 이야기라고 첨엔 받아들여졌다. 

 

하지만 좀 더 주의 깊게 들여다보니 ‘몽고반점’은 영혜나 ‘그’가 선망하는 태고의 순수함에 미칠 수 없는 어차피 가련하고 미약한 인간에 관한 이야기가 맞는 것 같단 생각이 들었다. 

영혜는 피해자고 ‘그’는 가해자가 아닌, 둘 다 피해자이면서 동시에 가해자이고, 끝까지 가보고 둘 다 무너져버릴 수밖에 없었던 부조리하고 불순한 인간끼리의 이야기였다고. 

 

그런 점에서 처음 책 ‘채식주의자’가 처음의 순수했던 의도를 말하는 것이라면 ‘몽고반점’은 어차피 그런 순수함을 따를 수 없는 낙인찍힌 유약한 인간을 이야기하는 것이라고 봐야 할 것 같다. 

아직 ‘나무불꽃’을 보지 못해 결론이라고 말하긴 좀 그렇지만 이 책 ‘몽고반점’에 나오는 몇몇 표현을 보면 여리고 힘없고 피해자로 보이는 영혜 역시 파멸로 치닫는 욕정의 화신이 분명해 보이므로 그렇게 해석됐다. 

 

과연 그들의 섹스를 태고의 원초적 야생성이라고 명명할 수 있을까? 그녀의 욕정을 순수한 생명력으로 해석할 수 있을까? 이에 답을 얻기 위해 책 ‘나무불꽃’을 하루빨리 읽어보고 싶어 진다.